2025년 지자체 청년수당 총정리 (서울·경기·부산 등 지역별 지원금 비교)
반응형
청년 지원금, 정부만 주는 거 아니에요! 요즘은 각 지자체도 청년수당, 취업장려금, 면접수당 등 다양한 정책을 운영하고 있어요. 그런데 지역마다 명칭도 다르고, 신청 방법도 제각각이죠. 그래서 오늘은 2025년 기준, 대표적인 지자체 청년수당을 지역별로 정리해드립니다.
1. 서울특별시 – 서울 청년수당
- 대상: 만 19~34세 미취업 청년
- 조건: 6개월 이상 서울 거주 + 최종학력 졸업 후 2년 이내
- 지원금: 월 50만 원 × 6개월 = 총 300만 원
- 신청: 서울청년포털 (https://youth.seoul.go.kr)
→ 대표적인 ‘구직활동 지원형 수당’으로 매년 모집 공고 뜹니다.
2. 경기도 – 청년기본소득
- 대상: 경기도 3년 이상 거주 중인 만 24세 청년
- 지원금: 분기별 25만 원, 연간 총 100만 원 (지역화폐)
- 신청: 경기청년포털 (https://youth.gg.go.kr)
→ 자동 지급이 아니며, 분기별로 신청해야 해요!
3. 부산광역시 – 청년디딤돌카드+
- 대상: 만 18~34세 미취업 청년
- 지원금: 교육·자격증·구직활동에 쓸 수 있는 바우처 300만 원
- 특징: 카드 형태로 지원 / 교육기관, 취업비용 등에 사용
- 신청: 부산청년플랫폼 (https://www.busan.go.kr/young)
→ 직접 현금 지급은 아니지만, 실질적 지원 효과 높아요.
4. 광주·대전·대구 등 기타 주요 지역
- 광주 청년드림수당: 미취업 청년 대상 면접·교통비 월 30만 원
- 대전 청년희망카드: 구직 청년 대상 맞춤형 활동비 연 200만 원
- 대구 청년사회진입활동지원금: 월 최대 50만 원, 최대 6개월
→ 명칭은 달라도 ‘미취업 청년 + 거주기간’이 주요 기준이에요.
공통 신청 조건 요약
- 대부분 만 19세~34세 사이 청년
- 거주지 기준 6개월~3년 이상 조건 있음
- 미취업 또는 소득요건 충족 필요
- 대학교 재학생·휴학생은 제외되는 경우 많음
→ 꼭 거주지 기준 + 졸업 상태 + 소득조건을 확인하고 신청하세요!
자주 묻는 질문
Q. 중앙정부 청년수당과 중복으로 받을 수 있나요?
→ 대부분 지자체 수당은 중앙정부와 중복 불가입니다. 중복수급 시 환수될 수 있어요.
Q. 타지역 거주 청년도 신청 가능한가요?
→ 거주 기준 충족하지 않으면 신청 불가. 주민등록 주소지 기준입니다.
반응형
댓글